안녕하세요?
우잼마입니다.
요즘처럼 투자에 관대한 시기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빠르게는 10대부터 투자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는 말을 할 정도이니 말입니다.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목돈과 종잣돈이 넉넉하게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여유자금이 크면 클수록 큰 이익을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더욱이나 큰 이익을 위해서라도 우리는 먼저 종잣돈을 마련해야 합니다.
1. 종잣돈 목표 금액 세우기
목표를 정해놓고 시작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5천만 원에서 1억을 목표로 두고 우리는 은행과 가까이해야 합니다. 요즘처럼 고금리 시대에 위험한 주식투자보다는 은행 적금이나 예탁금으로 안전하게 시작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목표금액에 절반을 모았다고 생각이 든다면 그중 20%는 주식투자를 조금씩 시작해 보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그 이유는 분명 훗날 경험치가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전에 해야 할 것은 목표금액을 모으는 동안 충분한 공부를 해야 될 것입니다. 종잣돈 목표 금액과 목표 기간을 충분한 고민과 계획으로 성급하지 않게 정해놓고 결정했다면 당장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2. 적금과 예탁금 계좌는 용도에 따라 쪼개서 관리한다
첫 번째로 목표금액을 정해두었다면 우리는 그것을 실행에 옮겨야 할 것입니다. 보통 대부분은 월급 받는 통장에서 모든 지출이 다 이뤄지는 생활을 하고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고정비용의 생활비만 지출되는 통장을 분리시켜 사용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이것만 시작하더라도 한 달 수입과 비용이 어느 정도 정리가 될 것입니다. 혹시나 갑작스럽게 발생되는 경조사비등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별도의 여유 자금을 책정하여 통장을 분리해 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렇게 수입과 비용이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다면 목돈을 만들기 위해 적금 통장을 만들 텐데 적금 통장은 1년 단위로 만들어 꾸준히 저금을 합니다. 1년 뒤 10%의 목돈이 생겼다면 예탁금으로 돌리고, 또다시 1년 적금을 만들고, 2년 차 예탁금을 합산시켜 또 목돈을 굴려 이자에 이자를 굴리는 단계로 진입해야 합니다. 우리는 시작부터 큰 재테크를 하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첫 단계는 목돈과 종잣돈을 만드는 것이라는 걸 잊어서는 안 됩니다.
3. 동기부여
1. 목돈 만들기를 시작했다면 이제는 꾸준해야 하는 것이 숙제입니다. 목표를 높게 계획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1차 목표로 최종목표의 10%가 되는 금액을 생각하고 시작을 해야 합니다. 생각보다 긴 싸움이 될 수 있는 목표금액과 시간을 나눠 1단계, 2단계 겪다 보면 그 과정에서 분명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본인의 소비습관도 파악하며 그다음단계를 위해 조금 더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경험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왜 목돈과 종잣돈을 모으려고 했습니까? 그것을 계속 되뇌어야 합니다. '10년 뒤 10억을 모아 부자가 될 거야'라고 생각을 했다면 적어도 그것을 휴대폰 바탕화면에 해 두던, 집안 곳곳에 포스트잇에 적어 붙여두던 계속해서 본인 스스로를 자극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 쓰지 않아도 될 비용까지 누적해 버리는 신용카드는 이제 정리해야 할 때입니다. 사람들의 심리상 신용카드는 당장 주머니에 있는 현금이 나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에 대해 무뎌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체크카드나 현금을 가지고 다니며 소비습관을 바꾸는 것을 추천합니다.
'돈 따라가가는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저렴하게 보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3.01.19 |
---|---|
가전제품 구매 예정이라면 꼭 확인해봐야할 가전제품구매비용지원사업 (0) | 2023.01.17 |
끝이 없이 상승하는 물가속 설명절 차례비용 절약하기 (2) | 2023.01.15 |
2022년 귀속 직장인 연말정산 어떻게 해야 목돈 만들수있을까 고민이라면 이글을 확인하세요 (0) | 2023.01.13 |
겨울철 가습기 초음파에서 부터 시작해서 밥솥 형 가열식 가습기에 정착했어요. (0) | 2023.01.13 |
댓글